읽기마당 > 부모/교사 독서치료 > 독서치료이론

부모/교사 독서치료

제목 독서치료의 이론적 기초


독서치료는 정신분석 이론, 게스탈트 이론, 사회학습 이론 등 다양한 이론들을 기초로 하고 있다. 이러한 이론들은 독서치료의 과정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심리적 현상을 설명하는 기본개념들을 제공해 준다. 간략하게 각 이론들의 기본가정과 목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Corey,1986).

1. 정신분석 이론
정신분석 이론은 인간행동이 주로 무의식적 동기와 비이성적인 힘, 성적인 충동과 공격성 그리고 초기 어린 시절의 경험에 의해 결정된다고 본다. 행동의 역동이 무의식 속에 묻혀 있으므로 치료는 과거에 뿌리를 두고 있는 내적 갈들을 분석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정신분석이론은 참여자가 문학작품을 읽은 후 치료자와 나누는 상호작용 중에 일어나는 동일시, 전이, 카타르시스와 같은 개념의 근거를 제시한다. 치료자가 참여자인 어린이에게 문학작품을 주었을 때 작품을 읽는 참여자는 주인공에게 동일시를 하며 그 과정에서 자신을 잘 인식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동일시를 홍하여 카타르시스를 맛보게 되어 심리적인 해방감도 가지게 된다. 카타르시스는 문학을 통하여 독자의 본래 경험을 되살림으로써 억압된 정서를 해방시키는 과정, 즉 정화작용이라고 풀이될 수 있다. 그런데 문학작품은 인간의 억압된 정서의 상징적 표현일 때가 많기 때문에 이 작품을 읽음으로써 독자가 카타르시스를 맛볼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그리고 참여자는 책을 읽은 후에 책 속의 등장인물에 대한 반응으로 전이를 하게 되는데, 그러한 과정을 통하여 참여자는 어린 시절의 정신적인 충격을 되살리게 되고, 그러한 충격과 무의식적인 내부의 상태가 등장인물에게 투영되며, 이러한 상태가 자신에 대한 통찰을 얻도록 해주는 것이다.

2. 게스탈트 이론
게스탈트 이론은 사람이 성숙하려면 자신의 생활방식을 찾고 개인적인 책임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가정한다. 이 이론은 치료자가 내담자에게 지금-여기에서 알고 있는 것들을 충분히 경험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내담자들은 자신의 갈등을 말로만 하지 않고 직접 경험하도록 격려를 받는데, 그럼으로써 점차 자신의 인식수준을 넓히고 결국 자신의 분절되고 미처 몰랐던 측면을 통합하게 된다.(Corey 1986). 내담자는 특히 문학작품을 읽은 후에 거기에 나오는 등장인물의 역할을 맡는 역할극에 참여함으로써 자신의 내적인 갈등을 더 많이 인식하게 되어 심리적인 통합과 올바른 자아인식을 하게 되는 것이다.

3. 사회학습 이론
사회학습 이론에 의하면 어린이는 타인의 행동을 관찰하고 모방함으로써 새로운 행동을 획득하게 된다. 이러한 이론은 어린이가 성인의 생각과 행동을 모방하거나 또래집단 속에서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새로운 심리적 특성을 획득하는 과정을 잘 설명해 준다. 문학작품에는 사회적으로 용납이 안 되는 충동들(공격성, 지배하려는 것, 복수심)을 사회에서 받아들여지도록 표현할 수 있는 방법들이 제시된다. 따라서 사회학습 이론에서 강조하는 관찰학습과 모델링(modeling)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겠다. 즉 참여자는 작품 속의 등장인물이 하는 바람직한 행동을 따라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위의 세 가지 이론에는 문학치료(literatherapy)라는 용어를 사용한 Shiryon(1978)이 "이차적인 시선을 취하는 것(taking a second look)"이라고 언급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그는 이렇게 이차적인 시선을 취하는 것은 직접적인 감각 행동이 아니고, 정서적인 경험에 의해 수반되는 정신의 반영, 이해, 상상력을 가지고 세상을 보는 지각, 통찰력, 갑작스럽게 느끼게 되는 현실감 등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광범위하고 포괄적인 의미에서 심리치료를 "이차적인 시선을 취하는 것"이라고 막연하게 정의 내릴 수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이차적인 시선(second look)은 우리 자신의 행동과 정서와 우리 주변의 세계를 탐색하도록 해준다.

Shiryon(1978)은 우리 주변을 지각하는 세 가지 방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즉

1) 논리의 사용-이성적 측면
2) 환상의 사용-상상적 측면
3) 정서적 반응-경험적인 측면이 그것이다.

그는 대부분의 심리치료가 위의 세 가지 측면 중에서 하나나 두 가지 측면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참여자도 반드시 그 치료에 초점에 맞추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독서치료는 위의 세 가지 측면을 모두 중요하게 여기며, 참여자는 각자가 가장 편안하게 느끼는 만큼의 측면들을 선택하게 된다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