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기마당 > 부모/교사 글쓰기지도 > 글쓰기지도기초

부모/교사 글쓰기지도

제목 계획하기 전략은 쓰기 능력 발달의 핵심 요소


쓰기 과제의 착수 단계에서 일반화된 계획을 세우는 능력은 쓰기 능력 발달의 핵심 요소이며, 이러한 능력은 오랜 시간에 걸쳐 발달한다. 계획하기 과정의 기능은 과제에 필요한 정보를 장기 기억으로부터 가져오고, 그 정보를 목적에 맞게 사용하고, 그 목적에 맞는 글을 쓸 수 있는 계획을 세우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숙한 필자들은 쓰려고 하는 것을 계획하거나 검토하는 데 시간을 적게 보내나 경험이 풍부한 유능한 필자들은 계획하기에 시간을 많이 보낸다고 한다. 이 시간에 유능한 필자들은 자신이 해결해야 할 문제가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규정짓고 왜 이 글을 쓰는가에 대한 목적을 분명히 하며, 그러한 목적에 맞는 적절한 내용을 기억 속에서 탐색할 때 예상 독자를 고려하여 찾은 내용을 생성하고 끌어내서 조직할 전체적인 구도를 세운다. 즉, 계획하기 과정에서 쓰기 과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모두 고려한 상태에서 적절한 내용을 생성한다. 이때, 필자들은 세부 내용에 집착하거나 글의 하위 목적과 직결되지 않는 사항들의 처리 문제 때문에 걱정하는 일이 없이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계획하기 과정에서 만든 글 전체의 구도는 개략적인 스케치에 불과하므로 글을 써 나가는 과정에서 얼마든지 조정할 수 있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능력은 오랜 기간에 걸쳐서 많은 지식의 축적과 경험의 축적을 통해서 발달해 간다고 볼 수 있다.


1. 내용생성 능력
계획하기의 첫 번째 문제는 내용 생성 능력의 선상에서 나타난다. 능숙한 필자는 기억 속에서 화제와 관련된 정보를 찾고, 찾은 아이디어를 문장으로 옮긴다. 다시, 기억 속에서 다음에 필요한 정보를 찾고, 문장으로 옮긴다. 미숙한 필자는 이러한 과정을 계속해 나가다가 더 이상 다른 아이디어가 떠오르지 않으면 글쓰기가 그대로 끝나 버린다. 따라서 이들이 쓴 글은 전체 구도를 잡고 글을 써 나간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야기가 더 계속될 것 같은 지점에서 그냥 끝나버리는 경우가 많다.


2. 장르스키마
장르 스키마는 이야기 문법이나 기사의 형식과 같은 텍스트의 유형, 구조, 그에 따른 쓰기 과정, 전략, 혹은 독자 등에 대한 지식이다. 이러한 장르 스키마는 계획하기 단계에서 능숙한 필자들이 글의 전체적인 목적을 세우고, 그에 맞는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수 있도록 장기 기억 속에서 단기 기억 속으로 끌어내져 계획하기 과정을 돕는다.(Flower & Hayes,1980) 

 

3. 쓰기상황 탐색
글을 쓰는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필자가 가장 먼저 하는 일은 쓰기 상황을 탐색하는 일이 필요하다. 그 이유는 쓰기 상황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바로 글을 작성할 때 생기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초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능숙한 필자와 미숙한 필자의 계획하기 과정에서의 차이는 바로 이 쓰기 상황을 인식하는 방법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일이 많다.


4. 휴지기간을 통해 계획 조정하기
쓰기 과정에서의 휴지 기간이 계획하기나 필자의 방침을 결정하는 기회가 된다. 담화 유형에 대한 친밀감이 덜했던 설득글이나 일반화 글의 과제에서는 구조화와 계획하기에서 난항에 부딪치게 되고 따라서 판단을 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 즉, 친숙하지 않은 장르나 화제에 대해 쓰기를 하는 경우에는 보다 많은 기억의 고리들을 따라 탐색을 해야만 적정한가, 아닌가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시간이 다소 오래 걸리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볼 때, 계획하기에서 주로 설정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그 내용에 대한 재 판단이 필요한 경우에는 계획하기 자체에 조정을 하게 되고, 필자는 자신의 방침을 번복할 수 있어야 한다.

[조은수, 1997, ‘쓰기 능력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에서 발췌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