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기마당 > 부모/교사 독서지도 > 독서지도기초

부모/교사 독서지도

제목 3. 과정중심 독서 지도

 1) 과정 중심 독서지도란
독서교육이 ‘무엇을 알게 되었는가’의 ‘결과 중심’에서 학습자의 머리 속에서 ‘무엇이 일어나는가’를 중요시하는 ‘과정 중심’으로 바뀌게 된 시점은 70년대 이후로, 교육학, 심리학 가운데서도 인지심리학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결과이다.
과거 결과 중심의 독서교육에서는 책은 단순히 지식만을 담고 있는 객관적인 실체라고 여겼다. 따라서 교사에게는 지식의 능동적인 전달자로서의 역할이, 독자에게는 수동적인 수신자로서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이에 비해 과정 중심의 독서 교육에서는 독서의 주체가 독자이며 책과 관련된 지식은 독자의 경험과 배경지식에 의해서 능동적으로 구성되고, 교사는 독자의 독서과정을 안내하거나 도와주는 촉진자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때문에 과정중심의 독서교육에서는 학습자의 능동적인 역할과 문제 해결 과정을 중시한다.
과정중심 독서지도에서 ‘과정’은 독자의 사고 과정, 문제 해결과정, 의미 구성 과정을 말한다. 즉, 과정 중심 읽기에서는 독자가 무엇을 얻었느냐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지 않는다. 독자가 어떤 사고과정을 거쳐 의미를 획득했느냐, 어떤 과정을 거쳐 읽었느냐에 대하여 관심을 가진다.(송언희) 학습자의 능동적인 역할과 문제 해결 과정을 중시하는 것이다.
과정 중심 독서는 독자로 하여금 읽을 글과 관련된 배경지식을 조성하거나 활성화하는 ‘읽기 전의 지도’와 독서 진행 중에 의미의 이해와 진도를 적절하게 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읽는 중의 지도’. 그리고 독서행위는 물론 읽은 글에 대한 이해와 사고력 향상에 초점을 맞추는 ‘읽은 후의 활동’으로 나누어진다.


2) 각 단계에서의 활동에 대한 견해들

신헌재(1993)는 읽기 전에 할 만한 활동으로는 읽기 자료의 단어가 어렵지 않음을 인식시키기, 배경 지식 제공하기, 읽기 목적 설정하기 등을, 읽는 동안에 할 만한 활동으로는 간단한 질문하기, 시간 순서 점검하기, 순서대로 카드 배열하기, 빈칸 채우기 등을, 읽은 후에 할만한 활동으로는 토의하기, 극화하기, 작품의 내용과 다른 결말 상상하기, 그림으로 그리기, 역할 놀이를 제시하였다.

노명완(1998) 은 읽기 전 활동으로 글 내용 개관, 어휘 학습, 읽기 목적 수립 (SQ3R) 등을, 읽는 중의 활동으로 내용 요지 작성, 새로운 내용 메모, 질문 작성, 개인적 반응 작성 등을, 읽은 후의 활동으로 질문 작성, 중심 내용 찾기, 요약하기, 개인적 반응 발표 등을 들고, 전∙중∙후 과정에 서 독자의 사고 활동을 유도할 수 있는 질문 유형을 제시(사실적 질문, 해석적 질문, 적용적 질문)하였다.

이재승(1997)은 읽기 전 활동으로 동기유발, 예측하기, 목적 설정하기, 배경지식 활성화하기, 독서 방법 안내하기 등을, 읽는 중의 활동으로는 글 구조 파악, 질문하기, 추론하기, 연상하기, 점검하기, 협의하기, 메모하기 등을, 그리고 읽은 후의 활동으로는 독서 기록표 만들기, 다른 장르로 바꾸기(무언극, 드라마 등), 토의하기, 창조하기를 들었다.

박영목(1995)은 읽기 전 활동으로 사전 지식 조성(어휘학습, 배경 지식 활성화). 사전 지식 및 경험의 활성화를 들고, 읽는 중 활동으로 질문 삽입, 학습 내용 안내(학습지)를 제시했다. 그리고 읽은 후 활동으로는 사후 질문 활동(추론 및 적용 질문), 전체 토의, 읽기 기능 학습을 들면서 학습지를 통한 학습 과제 및 학습 활동 안내와 토의 학습 강조하였다.

최현섭(2001)은 읽기 전 활동으로 연상하기, 예측하기, 미리보기를, 읽는 중 활동으로 훑어보기, 중심생각 찾기, 글구조 파악, 추론하기, 건너뛰며 읽기를, 읽은 후의 활동으로 요약하기, 비판적으로 읽기, 창조적으로 읽기를 제시하며 읽기 과정별 전략을 중요시 하였다.

한철우(1993)는 읽기과정을 전∙중∙후로 구분하지 않고, 전략 중심의 접근법을 취하면서, 읽기 전 활동에서 사용하는 전략으로 예측 안내표, 앙케이트/질문표, 대조표, 의미지도, KWL차트의 다섯 가지를 들고 있다.